7 min read

XigmaNAS - 부팅 환경 설정

XigmaNAS 설치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 USB/CF (Embedded 설치) - USB에 시스템 이미지를 설치하고, 설정파일도 USB에 저장한다.
  • CD + Floppy/USB (LiveCD 설치) - 시스템 이미지는 CD를 이용하고, 설정파일은 플로피디스크나 USB에 저장한다.

권장하는 설치 방식은 Embedded이며, 메인보드나 기타 제한사항으로 인하여 이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LiveCD+플로피 환경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시스템 업데이트 등 일부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며, 그 외에 기능상 차이점은 없다.

Full 설치도 가능하지만, 이는 시스템 커스터마이즈가 필요한 극히 일부 상황에서만 사용한다.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는 메리트가 없으므로 본 문서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Embedded 설치건 LiveCD 구동이건, 우선 NAS4Free ISO 이미지를 다운로드 해야 한다. XigmaNAS 홈페이지에서 Latest Version ISO를 다운로드 받는다.

LiveCD 환경 사용하기

메인보드가 USB 부팅을 지원하지 않는 등 하드웨어 제약사항이 있다면 LiveCD 환경을 사용해야 한다. VMware도 USB 부팅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LiveCD 환경을 사용해야 한다.

LiveCD 환경에서 사용할 수 없는 제약사항은 다음과 같다.

  • CD는 읽기전용이다. 시스템 업데이트를 사용할 수 없으며, 매번 CD를 새로 구워서 교체해야 한다.
  • SWAP 파티션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램을 충분히(4GB 이상) 설치해야 한다.
  • 설정을 저장할 FAT(32)로 포맷된 플로피 디스크나 USB가 필요하다. 설정 저장용 디스크가 없어도 부팅은 되지만, 설정을 저장할 수 없으므로 재부팅 할 때마다 초기화된다.

다운로드 받은 ISO파일을 CD로 구워서 NAS에 넣고, 설정파일 저장용 디스크를 연결한 상태로 CD로 부팅하면 된다. 부팅 도중에 FAT로 포맷된 디스크를 검색하여 설정파일 저장용 디스크로 사용하게 된다.

VMware를 사용하는 경우, FAT로 포맷된 플로피 디스크 이미지를 만들어 사용하면 된다. 디스크 이미지는 바로 만들 수 있지만, FAT로 포맷하는 작업이 꽤 번거로우니, 첨부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면 된다.

관리 콘솔

부팅이 완료되면 각종 정보와 함께 콘솔 메뉴가 표시된다. 상단 플랫폼에 x64-livecd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웹GUI 접속 URL을 보여준다. 메뉴 9번에 Embedded 설치 항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Embedded 설치를 진행하려면 콘솔 메뉴를 확인한 뒤, 설치할 USB를 꽂고 다음 섹션으로 이동한다. LiveCD 환경에서 사용하려면, 2번 IP Address 메뉴에서 DHCP 설정을 진행하고 웹GUI 설정으로 넘어가면 된다.


Embedded 설치 사용하기

일반적으로 추천하는 사용방법이다. USB에 XigmaNAS 이미지를 설치하고, 부팅 및 설정저장 용으로 사용한다. 선택에 따라서 SWAP도 사용할 수 있다.

최초로 USB에 이미지 설치할 때, 그리고 파티션 구조가 바뀌는 메이저 업데이트 때에는 이 설치과정을 진행해 주어야 하며, 파티션 구조가 유지되는 마이너 업데이트 때에는 웹GUI 페이지에서 손쉽게 온라인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XigmaNAS 다운로드 페이지의 릴리즈노트에 주의사항이 표시되어 있으니 확인하면서 업데이트 해야 한다.

반드시 NAS에서 Embedded 설치를 진행할 필요는 없다. 작업용 PC나 VMware같은 가상머신에서 진행해도 된다. 위 LiveCD 설치과정을 따르되, 설치할 USB를 꽂지 않은 상태에서 부팅한다. USB를 꽂은 상태로 부팅하면 설정저장용 디스크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리 콘솔

위의 콘솔 메뉴가 보이는 상태가 되었다면 이제 USB를 꽂고, 9번 설치 메뉴로 진입한다.

Embedded 설치 1단계

설치 메뉴로 진입하면 5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1번을 선택한다. 2번은 오프라인 업데이트이며 3, 4, 5번은 Full 설치와 관련된 메뉴이므로 무시한다.

Embedded 설치 2단계

Embedded 설치 방법을 선택한다. GPT/MBR, 그리고 SWAP 파티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UEFI 부팅 지원 메인보드라면 1번을, 미지원 메인보드라면 2번을 선택하면 된다. SWAP을 사용하지 않으려면 3번 또는 4번을 선택한다. 잘 모르겠으면 2번을 선택한다.

Embedded 설치 3단계

설치 주의사항이 나온다. 모든 파티션과 데이터가 삭제된다는 내용을 확인한다.

Embedded 설치 4단계

설치 소스를 선택한다. CD를 선택한다.

Embedded 설치 5단계

설치 대상을 선택한다. 설치 대상에 있는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므로 재차 확인한 뒤 USB를 선택한다.
(위 이미지는 VMware에서 찍은 것이라 USB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Embedded 설치 6단계

SWAP 파티션으로 사용할 용량을 입력한다. 4GB USB 기준 1024나 2048 입력하면 된다.

이후 남는 공간을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파티션이 추가된다. 그러나 USB 수명에 영향을 주므로 사용하지는 않을 것이다.

Embedded 설치 7단계

파티션을 새로 만들고, Embedded 펌웨어가 설치되는데 약 2~3분 정도 걸린다. 설치가 완료되면 엔터를 눌러 처음 메뉴를 띄우고, Exit로 나가면 콘솔 메뉴로 돌아온다.

이제 8번 메뉴로 시스템을 종료하면 된다.

Embedded 설치 8단계

Embedded 설치한 USB로 부팅해 보면 각종 정보와 함께 콘솔 메뉴가 표시된다. 상단 플랫폼에 x64-embedded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웹GUI 접속 URL을 보여준다. 메뉴 9번 설치 항목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 부팅하면 DHCP가 기본적으로 꺼져 있으므로, 2번 IP Address 설정으로 진입하여 DHCP를 활성화 해 준다. 고정IP를 사용한다면 적당한 값을 입력해 주어야 한다. 이후 웹GUI 설정으로 넘어간다.